본문 바로가기

수학사24

수학의 명문 베르누이 일가 (Jakob Bermoulli, Johann Bemoulli, Daniel Bemoulli) 베르누이 일가는 참으로 불가사의한 집안이다. 이 가계에서 무려 여섯 명의 수학자와 한 명의 천문학자가 나왔다. 때문에 '베르누이의 수 '베르누이의 정리', '베르누이의 방정식 말을 들으면 도대체 어떤 베르누이인지 사전이라도 찾아보지 않는 이상 명확히 알 수가 없다. 그 밖에 이러한 사례는 영국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 Charles Robert Darwin(1809~1882) 일가 정도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자코브 베르누이 Jakob Bernoulli(1654~1705)와 그의 동생인 요한 베르누이 Johann Bernoulli(1667~1748), 요한의 아들인 다니엘 베르누이 Daniel Bernoulli (1700~1782)가 유명하다. 베르누이 가문은 원래 플랑드르 출신이었는데, "알바.. 2022. 8. 17.
수학의 3대 천재 아르키메데스1 (Archimedes, BC 287?-BC 212) 헬라 수학을 더 발전시켜서 완성하고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사람은 바로 아르키메데스(Archimedes)이다. 아르키메데스는 고대의 수학자 가운데 가장 천재적인 수학자라 할 수 있다. 그는 앞선 시대를 대표하는 아리스토텔레스보다 약 100년 뒤의 사람이다. 이 기간은 역사상으로 볼 때, 알렉산더의 정복 전쟁 이래 동양과 지중해 여러 민족 간의 접촉이 긴밀화하였고, 다른 방면으로는 로마라는 새 제국이 지중해 분지를 위시하여 뒤에는 고대 문화 세계 전체를 장악하려고 노력하던 시기이다. 예술과 과학 분야에서는 그리스 문화가 서지중해의 연안까지 모든 곳에 심어져 갔다. 이것이 헬레니즘이며 이 시기를 '헬라 시대'라고 한다. 이처럼 그리스 문화와 로마의 지배권은 그 후의 수 세기 동안 남유럽과 서남아시아, 그리고 .. 2022. 8. 17.
근세 수학의 근원 페르마, 파스칼 , 하위헌스 페르마 Pierre de Fermat, 1601~1665 피에르 드 페르마는 곡선의 접선을 구하는 문제를 연구했으며, 데카르트와도 종종 논쟁을 벌였다. 접선을 구하는 것은 미분법의 문제였다. 페르마의 방식은 데카르트의 방식보다 뛰어났다. 이후 프랑스의 수학자 라플라스 (Pierre Simon de Marquis Laplace, 1749~1827)는 미분법의 진정한 발견자는 페르마이며 뉴턴은 그것을 좀 더 해석적으로 파악한 것이라고 말했다. 우선권 논쟁은 참으로 복잡한 문제다. 페르마는 또한 확률론에 대해서도 연구했다. 아니, 연구했다기보다는 확률론을 창시했다. 그런데 파스칼도 확률론을 연구했기 때문에 이 두 사람 또한 자주 논쟁했다. 그는 '페르마의 문제' 로도 유명하다. 우리는 피타고라스 학파가 정수의.. 2022. 8. 17.
그리스 시대 이전 고대의 수학 수학의 커다란 부문 중 하나로 기하학이 있다. 지금도 프랑스 등에서는 수학자를 기하학자라고 부른다. 이는 그리스 시대 이래의 전통으로, 거의 모든 학문을 제일 처음 시작했던 그리스는 이 기하학을 이집트에서 받아들여 아름답게 꽃을 피웠다. 사실 이집트에서는 기하학이 학문이라고 할 만큼 발달하지 못했지만 말이다. 이집트는 이 지상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이 번영했던 나라다. 아프리카 내륙 깊은 곳에서 흘러온 나일강은 지중해로 흘러나가는 부분에 광활한 델타(삼각주를 만들었다. 기름진 흙이 쌓이고 또 쌓여, 예전에 바다였던 그곳은 푸른 수풀이 우거지고 야생동물들이 무리를 지어 노니는 비옥한 벌판이 되었다. 그러나 물이 많았기 때문에 썩 좋은 땅은 아니었는데, 상류 지방에서 내려온 사람들이 수많은 크리크(작은 운하).. 2022. 8. 17.
미적분의 위대한 창시자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Von Leibniz, 1646~1716) 고트프리트 빌헬름 폰 라이프니츠는 뉴턴보다 4년 정도 늦은 1646년 7월 1일에 독일의 라이프치히시(Leipzig)에서 태어났다. 폴란드 출신 집안으로, 아버지인 프리드리히 라이프니츠는 윤리 교사인 동시에 공증인이었다. 그는 6세에 아버지를 잃었지만 혼자 힘으로 공부해 12세에는 라틴어를 막힘없이 읽을 수 있게 되었고, 그 뒤에는 그리스어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집에는 아버지가 남긴 책들이 얼마든지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읽으면서 홀로 공부했다. 그리고 1661년에 라이프치히 대학에 입학해 1663년에 졸업했다. 졸업 논문은 논리학에 관한 것이었다. 그로부터 1학기는 예나 대학 (Friedrich Schiller University of Jena)에서 수학을 연구했다. 라이프니츠는 1672년부터 1676년.. 2022. 8. 16.